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

담낭염에 도움되는 차는 어떤것이 있을 까요? (feat 열쇠풀?) 담낭염을 완화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차를 소개해드릴게요. 이러한 차들은 담낭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와 알레르기 여부를 고려하여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열쇠분말차- **효과**: 담낭 건강에 도움이 되며, 특히 담석 예방에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조리 방법**: 열쇠분말을 끓인 물에 우려내어 차로 마십니다. 꿀이나 레몬을 첨가하여 맛을 낼 수 있습니다. 2. 생강차- **효과**: 소화를 돕고, 소화 불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조리 방법**: 생강을 얇게 썰어 끓인 물에 우려내어 차로 마십니다. 꿀이나 레몬을 첨가하여 맛을 낼 수 있습니다. 3. 민트차- **효과**: 소화를 돕고, 소화.. 2024. 9. 20.
담석증을 완화하는 법 중년의 나이가 들면 평소에 들어보지 못했던 여러가지 병명들을 주변에서 듣게 되는 것 같아요.나이가 들면 우리의 장기들도 나이가 들어서 힘든가봐요..좀 더 오래 건강하게 살려면 병에 대해 공부하는 게 필수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담석증"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담석증이란?담석증은 담낭이나 담도에 담석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 결정이 모여 담석을 형성합니다. 이 담석이 담도를 막거나, 담낭에 염증을 일으키면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요.   주요 증상1.복통과 통증: 가장 흔한 증상으로, 특히 오른쪽 상복부에서 시작되는 급성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 통증은 종종 식사나 운동 후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2.소화 불량: 소화 불량, 구토, 복부팽만감,.. 2024. 9. 20.
알쓰(술찌) 원인은 뭘까요? 알쓰...알코올쓰레기...술찌...술찌질이...요즘 줄인말들은 참 재미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알코올 쓰레기들은 알코올에서 들으면 아시겠지만 주량이 매우 적은 사람을 의미해요.술찌도 마찬가지구요.술 한잔만 마셔도 테이블의 온갖 술을 다 마신 사람처럼 얼굴이 벌게지는 사람이 있죠?바로 접니다. 처음에는 술을 내켜하지 않아서 내숭(?)이라고 생각했던 친구들도 술 한잔 마신 저의 모습을 보고 인정해주었죠. 왜 알쓰가 생기는 것일까? 처음에는 체질 혹은 유전이라고 해서 고개를 주억거리며 넘어갔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점차 들면서 맥주 맛을 알아버린 저는 도대체 왜? 이런 즐거움을 느낄수 없는 것인가? 궁금함이 밀려들어왔죠.찾아보니 유전이 맞았더라구요.특히 ALDH2유전자의 변이형을 가진 사람이 체내에서 분비되는 아.. 2024. 8. 28.
당뇨에 잘 걸리는 사람은 누구일까? 요즘 흔한 질병인 당뇨가 옛날에는 부자병이라고 했다고 해요.잘 먹어서 생기는 병이라고 하죠. 요즘은 반대로 잘못 먹어서 (식습관이 잘못되서) 생긴다고 하기도 해요. 당뇨에 잘 걸리는 사람이 있대요.흔히, 가족력이 있는 또는 비만인 사람들에게 공복혈당검사해봐라 당화혈색소 수치 검사 해봐라 이런 얘기들을 해요.하지만 비만이 현대에 들어서 우리나라에 많이 증가했다고 하지만, 미국 등 서양에 비만이 훨씬 많은 것 알고 있나요?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서양에는 당뇨 유병률이 매우 낮다고 합니다. 참 억울하죠?우리나라에서는 그토록 흔한 질병인데, 침묵의 살인자라는 말을 할 정도로 무서운 질병인데 ....나름 날씬한 나라인 우리나라에서만 당뇨가 왜 발생된는 것일까요? 2018년 우리나라 연구팀이 드디어 밝혀냈다고 합니.. 2024. 8. 26.
우리집에서 키우는 화분식물을 수경으로 키우면? 나 스스로 똥손도 이런 똥손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가 있어요. 당연히 학창 시절에 미술, 특히 만들기에서 최하점을 받기도 하고 종이접기나 요리 등 손으로 하는것들을 몇번 죽쒀 봤더니 그런 생각이 얼핏 들었었죠. 하지만 남들 다 키운다는 식물을 죽이고 나서야 아 나 똥손이구나 라고 생각한 강력한 계기가 되었죠.  셀 수 없이 많은 식물을 미련스럽게 죽이다가 아, 나는 안되겠다. 이런생각을 했던것 같아요.  그러다가 자칭 식물엄마(식물을 매우 잘 키우시는 분) 에게 팁을 전해들었죠.  물주기를 깜박하거나 너무 자주 주거나해도 식물은 살 수 가 없으니 수경으로 키우라는 말을요.    "어머 그럼 식물 뿌리가 썩지 않나요? 어째서죠? "  "글쎄요 잘자라던걸요~" 무심히 대답후 갈 길을 가셨죠. 원인을 꼭 .. 2024. 8. 26.
습도가 100%면 물 속 아닌가요? 언젠가 유난히 습하고 더웠던 여름날이었어요.그 날 따라 습도계를 무심코 보게되었죠.   습도:99%습도가 99%야? 와~ 정말 습한가보다.잠깐만, 100%이면 물속 아니야? 이상하네..호기심이 많은 아이를 키우는 지라 저도 궁금하면 미리미리 알아보는 습관을 가졌는데요 결론은!습도계에 나온 습도 수치는 상대습도라는 겁니다. 제가 이해했던 100%이면 물속이라고 생각한 것은 상대습도의 개념이 아닌 절대습도의 개념이었던 거죠.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습도는 상대습도였기 때문에 99%까지 나올 수 있었던겁니다.  공기 중에 실제로 어느 정도의 습기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는 "절대습도"입니다.  공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절대습도= 1m의 대기중에 섞여있는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것 여기서 포화 수.. 2024. 8. 19.